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5년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대상및 신청방법

by SAKAERI 2025. 2. 19.
반응형

서울시에서는 갑작스러운 어려움을 당한 위기의 저소득 가구에 대해 생계비 등을 신속하게 제공하여 안정적 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인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를 마련하였다. 이번 지원제도의 대상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긴급복지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사업의 개요

서울시는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사업’에 142억 원을 투자하여 2025년도 지원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 사업의 주된 목표는 위기 상황에 처한 시민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여,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망을 강화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신청 방법 및 접근성

긴급복지가 필요한 가구는 서울시의 25개 자치구 또는 거주하는 동주민센터에서 언제든지 지원 신청을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시민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만약 본인이 아닌 위기 이웃을 발견했을 경우에도 다산콜센터(02-120)를 통해 신청할 수 있는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이는 지역 사회의 연대와 상호 지원을 촉진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신청방법
긴급복지지원 신청

 

 

선정기준

서울형 긴급복지제도는 소득기준으로 선정한다.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액
2,228,445 3,682,609 4,714,657 5,729,913, 6,695,735 7,618,369

 

○재산기준: 4억 900만 원이하

○금융재산기준: 1,000만 원 이하(가구원수별 생활준비금에 10백만 원을 합산한 금액 이하

 

서울형 긴급복지제도 지원내용

위기가구에 필요한 맞춤형 물품 및 현금 지원

지원내용/서울시

지원횟수: 1회

추가지원: 생계지원, 의료지원 항목만 처음 지원 시와 상이한 위기상황 발생 시 동, 구 사례회의를 통해서 1회 추가지원 가

서울형 긴급복지제도의 역사적 배경

2015년에 도입된 ‘서울형 긴급복지제도’는 주소득자의 사망, 질병, 실직, 또는 사업의 휴·폐업 등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시민들에게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제도는 기초생활보장법, 서울형 기초보장 등 다른 법령이나 조례에 따른 지원이 이루어지기 전에 일시적으로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위기 상황에서 시민들이 느끼는 불안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지원절차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절차

 

소득 기준 완화 및 지원금 인상

2025년도 기준중위소득의 인상에 따라,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의 소득 기준도 완화된다. 1인 가구의 경우 7.3%, 4인 가구는 6.4% 증가하여 지원 대상이 확대된다. 이와 더불어, 지원금액도 인상된다.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의 생계급여는 1인 가구 기준으로 2.4%, 4인 가구 기준으로 2.1% 증가하여, 보다 많은 시민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긴급복지 위기 사유

  • 주소득자가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ㆍ유기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
  • 가정폭력을 당하여 가구구성원과 함께 원만한 가정생활을 하기 곤란하거나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
  •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경우
  •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경우
  •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실직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 ① 주소득자와 이혼한 때
  • ② 단전된 때
  • ③ 교정시설에서 출소한 자가 생계 곤란한 때
  • ④ 가족으로부터 방임ㆍ유기 또는 생계곤란 등으로 노숙을 하는 경우
  • ⑤ 복지사각지대 발굴 대상자로서 관련 부서로부터 생계가 어렵다고 추천을 받은 경우
  • ⑥ 통합사례관리 대상자로서 관련 부서로부터 생계가 어렵다고 추천을 받은 경우
  • ⑦ 자살한 자의 유족, 자살을 시도한 자 또는 그의 가족인 자살 고위험군으로서 관련 기관으로부터 생계가 어렵다고 추천을 받은 경우
  • ⑧ (코로나19로 인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가 무급휴직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⑨ (코로나19로 인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프리랜서인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소득이 급격히 감소한 경우

 

추가 지원 제도 및 특별 지원 방안

서울시는 연 1회의 지원이 원칙이나, 다른 사유로 인한 위기 상황에 대해서는 1회 추가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고독사 고위험 가구’에 대해서는 생계 지원이 1회 더 추가되어 최대 3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국가형 긴급복지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위기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 연 1회에 한해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복지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타까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우선 지원 후 사후 승인을 받는 ‘담당자 선지원 제도’와 ▴소득이나 재산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지원이 이루어지는 ‘특별지원제도’를 운영하여 시민들의 안전과 복지를 강화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