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예

마동석 주연 거룩한 밤:데몬헌터스 무대인사 이벤트 참가방법

by SAKAERI 2025. 4. 8.
반응형

롯데시네마는 회원에게 거룩한 밤: 데몬헌터스 개봉주 무대인사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알렸다. 주연들을 만날 수 있는 무대인사 이벤트에 참가해보자.

 

거룩한밤포스터
거룩한 밤

 

 

 

 

거룩한 밤: 데몬헌터스 무대인사 이벤트 기간

일정: 5월 3일(토) ~ 5월 4일 (일)

 

거룩한밤
거룩한밤

 

 

시놉시스

악마와 어둠의 숭배자들로 인해 공권력조차 무력해진 도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어움의 해결사 '거룩한 밤' 팀이 결성되어 직접 악의 무리를 처단하고자 한다. 그러던 중 갑자기 동생 은서(정지소 분)가 이상증세를 보이자 의뢰인 정원 (경수진 분)이 찾아온다.

거룩한밤 무비스틸/롯데시네마

 

 

등장인물 소개

1. 강바우 (마동석)
역할: ‘거룩한 밤’ 팀의 리더이자 어둠의 해결사

특징: 바위 같은 힘과 맨주먹으로 악마와 악의 숭배자들을 제압하는 인물. 마동석 특유의 압도적인 피지컬과 강렬한 카리스마가 캐릭터에 그대로 녹아 있다. 그는 단순한 힘뿐 아니라 팀을 이끄는 사장으로서 동료들과의 유대감도 강조된다

 

2. 샤론 (서현)
역할: 팀의 퇴마사이자 핵심 멤버

특징: 악마를 찾아내고 퇴마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로, 강렬한 구마 의식을 통해 악마와 맞선다. 하얗게 변하는 눈과 고대어 주문 등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바우의 든든한 오른팔 역할을 한다.

 

3. 김군 (이다윗)
역할: 팀의 기록자이자 분위기 메이커

특징: 샤론의 구마 의식과 바우의 액션을 지원하며, 캠코더로 그들의 활약을 기록하는 인물이다. 악마의 정체와 계획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팀에 유쾌한 에너지를 불어넣는다.

 

4. 정원 (경수진)
역할: 신경정신과 의사

특징: 기이한 증상에 시달리는 동생 은서를 구하기 위해 ‘거룩한 밤’ 팀을 찾아오는 인물이다. 동생을 향한 애절한 감정과 강한 의지를 보여주며, 이야기의 감정선을 이끄는 중요한 캐릭터.

 

5. 은서 (정지소)
역할: 정원의 동생

특징: 몸 안에 악마가 깃들어 이상 증세에 시달리는 인물로, ‘거룩한 밤’ 팀이 사건에 뛰어드는 계기가 된다. 그녀의 고통과 혼란이 극의 긴장감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영화 관람 포인트

1. 마동석의 통쾌한 액션과 확장된 세계관
관람 포인트:

마동석의 시그니처인 맨주먹 액션이 이번엔 악마와 악의 숭배자들을 상대로 펼쳐진다. 부산행, 범죄도시 등에서 보여준 그의 강렬한 피지컬이 오컬트적 요소와 결합해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2. 동서양 오컬트의 조화
관람 포인트:

영화는 한국적 정서와 서양의 퇴마 요소를 절묘하게 섞었다. 샤론(서현)이 사용하는 고대어 주문과 구마 의식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바우(마동석)의 직관적인 해결 방식은 현실적인 통쾌함을 더합니다.

3. 개성 강한 캐릭터와 배우들의 연기 변신
관람 포인트:

마동석, 서현, 이다윗, 경수진, 정지소 등 배우들이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진 캐릭터로 등장한다. 특히 서현의 퇴마사 연기와 정지소의 악마에 사로잡힌 연기는 기존 이미지와의 반전으로 눈길을 끈다.

4. 긴장감 넘치는 오컬트 스릴러 요소
관람 포인트:

악마로 인해 혼란에 빠진 도시와 그를 숭배하는 집단의 음모는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스릴을 제공한다. 은서(정지소)의 기묘한 증상과 샤론의 퇴마 장면은 공포와 긴장감을 극대화한다.

5. 가족애와 희생의 감동적인 메시지
관람 포인트:

정원(경수진)이 동생 은서를 구하려는 애타는 노력은 영화의 감정적 중심축을 이룬다. 악마와의 싸움 속에서도 인간적인 유대와 희생이 강조되며 여운을 남긴다.

6. 화려한 시각 효과와 연출
관람 포인트:

임대희 감독과 마동석의 기획이 만나, 악마의 등장과 퇴마 장면에서 시각적 볼거리가 풍성하다. 샤론의 하얀 눈동자와 구마 의식의 연출은 강렬한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이번 작품은 마동석의 액션과 오컬트적 요소가 결합된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관람 포인트를 통해 관객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