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챗GPT
챗GPT

 

 

챗GPT 이미지 생성 모델, '지브리 스타일' 열풍 속 더 엄격해진 정책

최근 오픈AI의 챗GPT(ChatGPT) 이미지 생성 모델이 일으킨 '지브리 스타일' 열풍이 화제인 가운데, 해당 기능에 대한 규제가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GPT-4o 기반의 이미지 생성 시스템인 DALL·E가 콘텐츠 정책을 업데이트하며 사진 기반 이미지 생성에 더 엄격한 제한을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사용자들이 새로운 정책에 맞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챗GPT
챗GPT

 

오픈AI DALL·E, 사진 기반 생성 기능 제한 강화

약 2일 전후로 오픈AI는 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에 대한 내부 안전 필터를 대폭 업데이트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업로드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재해석 및 변형 요청에 대한 심사를 강화한 점입니다. 이제 시스템은 '실제 인물의 재현 여부'를 더욱 민감하게 판단하며, 사진과 관련된 콘텐츠 정책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을 활용해 요청한 이미지 생성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줘"와 같은 직접적인 요청은 대부분 거부되며, "업로드된 사진을 기반으로 장면을 구성했다고 판단되어 자동 차단됨"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는 오픈AI가 개인 초상권 보호와 콘텐츠 오용 방지를 위해 취한 조치로 보입니다.

 

챗GPT
챗GPT

 

새로운 요청 방식: 구체적인 텍스트 설명이 필수

기존처럼 사진을 업로드하고 간단히 스타일을 지정하는 방식이 막히면서, 이제는 사용자가 텍스트로 장면을 상세히 묘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축구하는 선수의 모습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요청해야 합니다:

  • "축구장에서 축구하는 선수가 상대선수와 어깨를 부딪치며 슈팅하는 모습을 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

이처럼 사진 속 요소를 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전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브리 스타일뿐만 아니라 디즈니, 픽사, 슬램덩크 등 다양한 화풍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려면 텍스트 입력에 조금 더 공을 들여야 하는 셈입니다.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의 폭발적 인기

한편, 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은 지난 25일 출시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출시 일주일 만에 일 평균 이미지 생성량이 4억 2천만 장에서 최대 5억 6천만 장에 달할 정도로 전 세계 사용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SNS와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을 챗GPT로 생성된 이미지로 교체하는 유행이 번지며, 특히 지브리 스타일과 같은 독특한 화풍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챗GPT
챗GPT

 

결론: 변화에 적응하며 활용하기

오픈AI의 이번 정책 강화는 개인정보 보호와 콘텐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비록 사진 기반 요청이 제한되며 불편함이 생겼지만, 텍스트를 활용한 상세 요청으로 여전히 창의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을 계속 활용하고 싶은 사용자는 새로운 방식에 적응하며,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원하는 스타일을 구현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응형